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 Rock-carved Buddhas in Noseok-ri, Chilgok , 漆谷 老石里 磨崖佛像群 ]

요약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8세기경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979년 5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성주 노석동 마애불상군

성주 노석동 마애불상군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79년 5월 2일
소장 칠곡군
소재지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 산43-2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높이 1.55m(본존불상), 90cm(좌협시), 80cm(우협시), 1.15m(여래좌상)

1979년 5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55m(본존불상), 90cm(좌협시), 80cm(우협시), 1.15m(여래좌상)이다.

삼존상과 여래좌상이 천각(淺刻)되어 있다. 삼존상은 중앙에 아미타여래좌상을 주존으로 모시고 좌우에 관음보살좌상과 대세지보살좌상을 협시로 배치하였으며 모두 널찍한 원으로 된 두광(頭光)을 갖추고 있는 것이 이색적이다. 본존불상만은 양쪽 무릎 부분에서 올린 거신광(擧身光)이 표시되어 있다. 소발(素髮)의 머리 위에 큼직한 육계(肉髻)가 있으며 상호(相好)는 원만하다. 통견의(通肩衣)에 앞가슴 밑으로 의대(衣帶)를 묶은 것이 보인다. 양 협시불은 중앙을 향하여 측면에 있으며 3개씩의 연봉을 장식한 보관(寶冠)을 쓰고 어깨에는 머리에서 내려진 두발(頭髮)이 얹혀 있다.

양 보살이 다 연화좌(蓮華座) 위에 앉아 있으나 오른쪽의 대세지보살만은 발목을 엇갈리게 하고 있어 마치 어디 걸터앉은 듯한 교각상(交脚像)을 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매우 드문 예이다. 또 다른 여래좌상은 넓은 원대(圓帶)의 두광을 갖추고 앉았고 오른쪽 다리를 왼쪽보다 더 내리고 발끝을 연화좌 위에 놓고 있다. 특히 연화좌에서 고식적인 양식을 느낄 수 있으며 각부의 조각도 고졸(古拙)하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경북 칠곡군 기산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보물 거대한 바위면에 얕게 새긴 이 마애불상들은 통일신라 초기의 것으로, 중앙에 본존불과 본존불을 향하고 있는 좌우 협시보살이 표현된 삼존불 좌상인데, 오른쪽 협시보살 옆에 작은 불좌상이 하나 더 배치된 특이한 구조이다. 본존불은 양감있는 얼굴에 비해 작은 이목구비를 갖추고 있어 균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머리 주위로는 몸 전체의 빛을 나타내는 둥근 광배가 뚜렷하고, 그 주위에 새겨진 불꽃무늬들은 화려하다. 양 협시불은 중앙을 향하여 측면에 있으며 3개씩의 연봉을 장식한 보관을 쓰고 어깨에는 머리에서 내려진 두발이 얹혀 있다. 양 보살이 다 연화좌 위에 앉아 있으나 오른쪽의 대세지보살만은 발목을 엇갈리게 하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