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밑신경

혀밑신경

[ hypoglossal nerve ]

요약 제12뇌신경으로 설근(舌筋:내설근 및 외설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으로 구개혀근을 제외한 모든 혀의 내재성 및 외재성 근육에 분포한다. 이 신경이 손상되면 혀가 마비되고, 점점 혀근육이 위축된다. 혀밑신경 손상 환자가 혀를 내밀면 혀는 손상된 쪽으로 휘어진다.

설하신경(舌下神經)이라고도 한다. 이 신경은 구개혀근을 제외한 모든 혀의 내재성 및 외재성 근육에 분포한다. 일반체원심성분(GSE)의 핵인 혀밑신경핵 신경원의 축삭을 이루는 신경이다. 비교해부학적으로 말하면 최상위의 척수신경의 앞쪽 뿌리에 해당한다. 연수에서 나와 두개 아래에 있는 혀밑신경관을 지나 두개 밖으로 나타나 혀신경과 합해져서 설근에 분포한다.

연수 내부의 혀밑신경은 앞쪽 약간 왼쪽방향으로 안쪽섬유띠의 바깥쪽 표면을 따라 전외측고랑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 연수 표면에서는 여러 개의 소근으로 나와 2개의 큰 섬유다발이 되어 각각 뇌경질막을 뚫고 혀밑신경관을 통해 나온 후 하나로 합쳐져 혀밑신경이 된다. 이 신경에는 제1, 2, 3경신경(頸神經)의 가지가 연락되고 있으며, 이들은 경부의 종주근군(縱走筋群)의 대부분을 지배한다.

이 신경이 손상되면 혀가 마비되고, 점점 혀근육이 위축된다. 혀밑신경 손상 환자가 혀를 내밀면 혀는 손상된 쪽으로 휘어진다. 그 이유는 혀를 앞으로 내미는 데 작용하는 두 턱끝혀근 중 손상이 있는 쪽의 근육은 작용을 못하고 손상이 없는 쪽 근육이 혀를 손상된 쪽으로 밀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