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휘사

선휘사

[ 宣徽使 ]

요약 고려 초기 남반(南班)의 4품 관직.

설치·폐지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998년(목종 1)의 개정전시과(改定田柴科)에서 제9과로 전지(田地) 60결(結)과 시지(柴地) 33결을 받았다가, 1076년(문종 30)에 경정전시과(更正田柴科)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목종 이전에 설치되었다가 문종 30년 이전에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남반은 정7품인 내전숭반(內殿崇班)을 최고직으로 액정국(掖庭局)에 설치되었으나, 고려 초기에는 이와 달리 선휘사·인진사(引進使:5품)·통사사인(通事舍人:6품)·내전숭반(內殿崇班:7품) 등이 있었다. 그뒤 문종 때 중앙집권체제가 완비되면서 남반도 함께 정비되어 인진사와 통사사인은 합문(閤門), 내전숭반은 액정국에 속하였는데, 선휘사도 이 조치의 일환으로 폐지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항목

남반

역참조항목

인진사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