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위사

선위사

[ 宣慰使 ]

요약 조선시대에 입조(入朝)하는 중국의 사신(使臣)을 영접하기 위해 임시로 둔 관직.

개국 초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면서부터 두어 2품관 또는 정3품 당상관(堂上官) 이상인 자로 임명하였는데, 정조 때 영위사(迎慰使)로 개칭하였으며, 영접사(迎接使)라고도 하였다.

입국하는 중국 사신은 의주(義州)부터 서울에 이르기까지 통과 지점에서 극진한 영접과 우대를 받았는데, 특히 중요한 6개 처에는 선위사가 파견되어 더욱 많은 후대와 예의를 표시하였다. 이들이 서울 교외에 도착하여 조정에 보고하면 국왕은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돈의문(敦義門) 밖까지 나가서 영접하였다.

참조항목

관반사, 원접사, 칙사

역참조항목

문안사, 황진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