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탈해신화

석탈해신화

[ 昔脫解神話 ]

요약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 재위 57~80)의 탄생신화.

《삼국사기》의 〈신라본기〉 '탈해이사금'조, 《삼국유사》 권1의 〈기이(紀異)〉 '탈해왕'조와 권2의 〈가락국기(駕洛國紀)〉 등에 실려 있는 신라 제4대 왕이자 석씨(昔氏) 왕조의 시조인 탈해왕의 탄생신화를 말한다. 왕의 아들이라는 고귀한 신분이지만 알에서 태어난 비정상적 출생으로 인하여 버림받고 숱한 시련을 극복한 뒤 결국 왕의 자리에 오르는 영웅신화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탈해왕은 왜국(倭國)의 동북쪽으로 1000리 떨어진 곳에 있는 다파나국(多婆那國)에서 태어났다. 다파나국의 왕이 여국(女國)의 왕녀를 아내로 맞았는데, 왕비는 임신한 지 7년 만에 큰 알을 낳았다. 왕이 이를 상서롭지 않은 일로 여겨 버리게 하였으나, 왕비는 차마 그러지 못하고 비단에 보물과 함께 알을 싸서 궤 속에 넣어 바다에 띄웠다.

궤는 파도를 타고 가다 먼저 금관국(金官國)의 바닷가에 이으렀으나 그곳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겨 건지지 않았고, 혁거세 재위 39년에 진한(辰韓)의 아진포(阿珍浦) 어귀에 닿았다. 해변에서 한 노파가 궤를 건져 열어 보니 아이가 들어 있었고, 노파가 기른 아이는 장성하여 키가 9척에 풍모와 지식이 뛰어났다. 그의 이름은 궤가 바다에 떠왔을 때 까치 한 마리가 울며 따라왔다고 하여 '까치 작(鵲)'에서 '새 조(鳥)' 변을 떼어 '석(昔)'으로 성을 삼고, 담긴 궤를 풀고 알에서 나왔다 하여 이름은 '탈해(脫解)'라고 하였다.

탈해는 노파를 어머니로 삼아 고기잡이로 봉양하다가 노모의 말을 좇아 학문에 정진하고 지리를 익혔으며, 나중에 양산의 호공(瓠公) 집을 길지(吉地)로 여겨 계책을 써서 빼앗아 살았는데 그 땅이 훗날의 월성(月城)이다. 남해왕이 그가 현명한 사람이라는 소문을 듣고 그의 딸과 혼인시켜 사위로 삼은 뒤 대보(大輔)로 등용하고 정사를 맡겼다. 유리왕이 임종할 때 나이 많고 어진 사람에게 왕위를 잇게 하라는 선왕의 뜻에 따라 자신이 왕이 되었다며, 자신도 왕위를 탈해에게 물려주겠다고 하였다.

《삼국유사》의 '탈해왕'조에는 출생지가 용성국(龍城國)이며, 함달파(含達婆) 왕이 적녀국(積女國)의 왕녀를 왕비로 맞아 낳았다고 한다. 용성국은 다파나국과 마찬가지로 왜국의 동북쪽으로 1000리 떨어진 곳에 있으며, 정명국(正明國) 또는 완하국(琓夏國)이라고도 한다. 알로 태어난 탈해는 칠보(七寶)·노비와 함께 커다란 궤에 넣어져 배에 실려 바다를 떠다니다가 혁거세왕에게 해산물을 바치던 아진의선(阿珍義先)이라는 노파에게 발견되었다. 탈해는 키가 9척 7촌, 머리둘레가 3척 2촌에 달하는 거구로 묘사되어 있고, 사후에 문무왕의 꿈에 나타나 소천구에 장사지낸 자신의 뼈를 들어내어 소상을 만들어 토함산에 안치하라 하였으며 이후 동악신(東岳神)으로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는 완하국 함달왕의 부인이 낳은 알이 사람이 되어 이름을 탈해라고 하였으며, 키가 3척, 머리 둘레가 1척에 불과한 왜소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탈해는 바다를 건너 가락국의 수로왕을 찾아가 왕위를 내놓으라며 도술을 겨루었으나 패하고 계림 땅으로 달아났다고 한다.

참조항목

신화, 탈해이사금

역참조항목

난생신화, 함달파왕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