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지하가스화

석탄지하가스화

[ 石炭地下─化 ]

요약 지하의 탄층(炭層)에 있는 석탄을 그대로 가스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탄층 내에 몇 개의 평행한 수평갱도(水平坑道)를 파고, 이것을 지표면에서 보링으로 서로 연결하여 불을 붙인 다음 한쪽에서 공기를 보내고 다른 쪽에서 가스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지표면에서 탄층까지 보링 등에 의해서 2개의 보어홀(borehole)을 뚫고, 한 쪽에서 공기를 보내어 두 보어홀 사이의 탄층을 불완전연소시켜서 발생하는 가스를 다른 쪽 보어홀에서 채취하는 방법이다.

탄층 내에 몇 개의 평행한 수평갱도(水平坑道)를 파고, 이것을 지표면에서 보링으로 서로 연결하여 불을 붙인 다음 한쪽에서 공기를 보내고 다른 쪽에서 가스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지표면에서 탄층까지 보링 등에 의해서 2개의 보어홀(borehole)을 뚫고, 한 쪽에서 공기를 보내어 두 보어홀 사이의 탄층을 불완전연소시켜서 발생하는 가스를 다른 쪽 보어홀에서 채취하는 방법이다.

가스화제(化劑)로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가스의 발열량은 1,000kcal로 낮고, 따라서 가스터빈 발전용 연료로 이용될 뿐이다. 러시아의 멘델레예프가 고안한 방법으로, 지하노동이 경감되고, 채탄·선탄공정이 불필요하며, 값싼 연료가스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은 있으나, 가스의 발열량이 낮아 용도가 한정되는 점, 또 기술적으로 해결이 안 된 점 등이 있어 현재 러시아연방을 제외하고는 거의 공업화되어 있지 않다.

참조항목

석탄

역참조항목

가스화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