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전

서적전

[ 西籍田 ]

요약 조선시대 국왕이 농사의 시범을 보이기 위해 개성에 둔 토지.

본래 고려시대에 설치된 교채공전(郊采公田)으로, 개성의 동남문인 보정문(保定門) 밖 20리에 있었으며 땅이 기름지기로 이름난 곳이었다. 농업이 차지한 비중이 절대적인 전근대국가에서 농사를 권장할 정책적인 필요에서, 국왕이 백성에게 농사 시범[親耕]을 보이기 위해 두었다.

규모는 태종 때는 약 300결이었으나, 20여 년 뒤인 세종 때는 70결만 남았다가, 조선 후기의 어느 시기에는 65결 99부 9속으로 되었다. 이곳에서 수확한 곡식은 종묘사직 등의 정기적인 제사에 쓰이는 제물과 종묘의 천신(薦新)에 쓰이다가, 정조 때부터 호조에 회부하여 적전을 유지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썼다. 형향각(馨香閣)이라는 관청을 두고 제사에 쓰일 각종 곡식을 저장하는 일을 관리하게 하였다. 처음에는 전농시(典農寺:후의 봉상시) 소속의 노비에게 경작하게 하다가, 세종 이후로는 부근의 농민을 동원하여 경작하였다.

역참조항목

동적전, 적전, 선농제향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