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삼랑성

강화 삼랑성

[ Samnangseong Fortress, Ganghwa , 江華 三郞城 ]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연대 미상의 산성. 1964년 6월 10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강화 삼랑산성

강화 삼랑산성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64년 6월 10일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1번지
시대 삼국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크기 면적 245,997㎡, 둘레 약 1km

1964년 6월 10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넓이 24만 5997㎡, 둘레 약 1km이다.

성의 축조 연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지만 다만 단군(檀君)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로 그 이름을 삼랑산성(三郞山城) 혹은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한다. 성곽의 축성 구조를 보면 잡석(雜石)으로 축조되어 삼국시대 석성구조(石城構造)를 보여 주고 있으며 고려시대에 보수(補修), 조선시대에 중수(重修)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성문은 네 곳에 있으며 문루(門樓)는 남문에만 있어서 종해루(宗海樓)라 하였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이 소장된 마니산의 사고(史庫)가 옮겨와 보존되었었다. 그리고 성내에는 유명한 전등사(傳燈寺)가 있으며, 병인양요(丙寅洋擾) 당시에 프랑스군에 승리한 기념비로서 양헌수 승전비(梁憲洙勝戰碑)가 서 있다.

이러한 삼랑성은 특히 마니산 전설과 더불어 단군신화와 관련되는 흥미있는 성이라고 할 수 있다.

참조항목

길상면, 온수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강화 삼랑성 성의 축조 연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지만 다만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로 그 이름을 삼랑산성이라고 하며, 정족산성이라고도 한다. 성곽의 축성 구조를 보면 잡석으로 축조되어 삼국시대 석성구조를 보여 주고 있으며 고려시대에 산성을 보수하였고, 조선시대에도 추가적인 축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성문은 네 곳에 있으며 문루는 남문에만 있는데 종해루라 하였다. 삼랑성은 강화 마니산 전설과 더불어 단군신화와 관련있으며 성내에는 고려시대 사찰인 전등사가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