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

사회통합

[ social integration , 社會統合 ]

요약 비통합적인 상태에 있는 사회 내 집단이나 개인이 서로 적응함으로써 단일의 집합체로서 통합되어 가는 과정.

이 과정에 있어서 사회는 분산적인 상태로부터 보다 결합적·단결적인 상태로 전화(轉化)하여 간다.

허버트 스펜서(Hebert Spencer)는 이를 사회집성(社會集成)이라 하였으며 또 레스터 F. 워드(Lester F. Ward)도 이에 따라서, 사회집성 가운데 한 종족에 의한 다른 종족의 정복, 신분의 기원(起源), 국가의 기원, 이질적 요소의 동질적 민족에의 합체(合體), 애국심의 발생, 발전과 국민 형성 등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회적 행위이론이나 체계이론의 입장에서는 사회체계 또는 하위체계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회분화를 볼 때 다른 역할·기능을 갖는 새로운 체계를 통합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면, 정치체계는 다른 체계인 경제·문화를 정치적 국면에서 통합하며, 또 문화체계가 경제·정치의 여러 체계를 가치의 내면화(內面化) 국면에서 통합하는 예가 사회통합이라고 한다. P.T.파슨스는 통합을 일컬어 다음의 상태 또는 그 상태로 인도하는 과정이라 하였다.

즉, ① 복수의 사람들 사이에 공통의 목표가 존재하며, ②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자의 역할이 분담되어 있고, ③ 역할의 수행이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임을 서로 인정하고 있으며, ④ 분담하고 있는 역할은 어떤 식으로든 그 사람에게 욕구충족을 가져다 준다고 정의하였다.

역참조항목

탤컷 파슨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