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병리

사회병리

[ 社會病理 ]

요약 개인 ·집단 ·지역사회 ·전체사회 ·문화 등에 있어서의 이상(異常).

현상만 볼 때에는 범죄 ·비행 ·자살 ·부랑(浮浪) ·매음 ·실업 ·빈곤 ·슬럼 ·도산 ·미신 등, 여러 가지 사회악이나 사회적 곤란을 말하며, 일탈(逸脫)이나 기능장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좀더 논리적으로 말한다면, 사회병리란 개인 ·집단 ·지역사회 ·전체사회 ·문화 등에 있어서의 기능장애, 그리고 그 발생조건이나 결과현상에 있어서의 이상 ·일탈의 문제이다.

그 중에서 결과현상에 있어서의 이상 ·일탈은 일반적으로 이상행동 ·일탈행동이라 일컬어지며, 앞서 말한 범죄 ·비행 ·자살과 같은 여러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부부관계 병리의 실체는 부부관계의 기능장애, 즉 부부간의 역할관계의 저해(沮害)나 감정관계의 불일치에 있으나, 이에는 그 부부를 둘러싼 내부적 ·외부적 조건에 있어서의 이상 ·일탈이 원인이 된다. 복잡하게는 폭언 ·폭행상해 ·별거 ·가출 ·이혼 등의 이상 ·일탈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비행의 경우를 보면, 비행 그 자체는 결과현상이며, 병리의 실체는 그 소년의 비뚤어진 성격이나 생활장애에 있는데, 여기에는 그 소년을 둘러싼 내부적 ·외부적 조건에 있어서의 이상 ·일탈이 원인으로서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병리에는, 명확히 구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크게 나누어 기능장애 ·발생조건 ·결과현상의 세 가지 측면이 있다. 그리고 결과현상이 병리의 실체에 반작용하여,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