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산사태

[ landslip , 山沙汰 ]

요약 산 사면을 이룬 암석, 토양이 붕괴하는 현상이다. 호우, 지진, 천둥 등의 소음, 화산에 의해 일어난다. 지하수가 모인 곳일 수록, 경사가 급할 수록 사태가 일어나기 쉽다. 그밖에도 지층의 경사가 사면과 거의 평행하고, 사면이 패인곳에서 볼록 나온 곳으로 바뀌는 부분에서 일어나기 쉽다.
산사태

산사태

대부분의 사태는 호우에 의하여 발생하며, 그밖에 지진, 천둥·폭발 등과 같은 소음에 의한 진동, 화산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지진이나 화산폭발에 의한 사태는 발생빈도는 적지만 그 규모가 크다. 사태는 30° 이상의 경사를 이루는 사면에서는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으며, 지형학적·지질학적으로 지하수가 모여 있는 곳에서 일어나기 쉽다. 화강암이나 집괴암(集塊岩)처럼 풍화되기 쉬운 암석은 지표에서 깊은 곳까지 풍화되어 암석 입자의 고결도(固結度)가 작아짐과 동시에 풍화토가 두껍게 생성되며, 빗물이 다량으로 침투하면 풍화층과 그 아래의 새로운 암석면 사이에 경계가 생겨 안정을 잃고 그 상부가 갑자기 무너지게 된다.

경사가 급할수록 사태가 일어나기 쉽지만 보통 상태에서는 수직인 절벽도 장기간의 강우 직후 호우가 내리면 한꺼번에 무너지는데, 1979년 한국에서 일어난 진해 장복산사태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지층의 경사가 사면에 거의 평행한 곳과 사면이 요형(凹形)에서 철형(凸形)으로 변하는 어깨 부분에서 일어나기 쉽다. 특히 태풍기나 장마철에는 각지에서 사태가 일어나서 산림이나 경지·가옥·인명에 피해를 주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