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부

사부

[ 辭賦 ]

요약 중국의 고전문의 하나.

운(韻)을 밟은 미문(美文)으로 초(楚)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초사(楚辭)》에서 비롯되어 한(漢)·위(魏)·육조시대(六朝時代)에 걸쳐 성행하였다. '부(賦)'는 원래 '부(敷)'와 같아서 까는 것을 의미하며 사물을 늘어놓고 직서(直敍)하는 글을 말한다. 서정(敍情)을 주로 하는 것을 사(辭), 서사(敍事)를 주로 하는 것을 부(賦)라고 하나 뚜렷한 구별은 없다.

한(漢)나라의 사마상여(司馬相如)는 천자의 덕을 찬양하는 《상림부(上林賦)》, 《자허부(子虛賦)》 등을 지었으며, 미사여구를 써서 문재를 자랑하였다. 또 양웅(揚雄)은 《감천부(甘泉賦)》 등에서 부(賦)로써 풍유(諷諭)를 시도하였다. 위대(魏代)에 들어와서는 조비(曹丕)의 《과부부(寡婦賦)》, 조식(曹植)의 《신녀부(神女賦)》, 왕찬(王粲)의 《등루부(登樓賦)》 등 개인적인 감정을 넣은 작품이 나왔다.

진(晋)나라에서는 반악(潘岳)이 《추흥부(秋興賦)》에서 장식을 배제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고 육기(陸機)는 《문부(文賦)》에서 대구(對句)를 구사하였다. 또 도잠(陶潛: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는 초사의 서정성을 이어받은 특이한 작품이다.

그후 부는 형식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져서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을 형성한다. 당대(唐代)에는 이 경향이 현저하여 《율부(律賦)》라는 내용이 공소한 것으로 떨어졌으나 고문부흥운동의 영향을 받아 산문화된 부가 나오게 되어 송나라 때 구양 수(歐陽修)의 《추성부(秋聲賦)》, 소식(蘇軾:東坡)의 《적벽부(赤壁賦)》 등이 나왔는데 이것을 문부(文賦)라고 한다. 송대(宋代) 이후 부는 점차 쇠퇴하였다.

참조항목

고문, , 소동파,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