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지회로

브리지회로

[ bridge circuit ]

요약 사각형의 각 변에 저항이나 임피던스를 접속한 전기회로. 사각형의 대각선에 저항이나 검출기를 연결하는데 이를 브리지(bridge)라고 한다. 휘트스톤 브리지, 드 소테 브리지, 맥스웰 브리지 등의 회로가 있다.

브리지회로 본문 이미지 1

[그림 1]에서 저항 P와 R 가 직렬, Q 와 X 가 직렬로 이어져 있고, 이들이 전원 E 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P 와 R 의 이음자리 c, Q와 X 의 이음자리 d 와의 사이에 저항 G 가 들어 있을 경우 이 G 는 c, d 사이에 브리지로 이어져 있다 한다. 그래서 이같은 G 를 포함하는 회로 전체를 브리지회로라 한다.

[그림 1]은 4변이 모두 저항만으로 연결된 직류브리지로서 휘트스톤브리지라 부르는데, 저항을 재는 회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밖에 10-4Ω~1Ω의 낮은 저항 측정용인 켈빈더블브리지, 1010Ω 이상의 고저항 측정용 브리지 등이 있다. [그림 2]와 [그림 3]은 교류 브리지회로이다. 이들 그림에서 T는 교류 미소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수화기가 사용된다. 이 경우 교류전원의 주파수는 1,000Hz가 쓰인다. [그림 2]에서 Cx는 측정되는 콘덴서의 전기용량, Cs는 기지의 전기용량, P, Q는 기지저항이다. P, Q, Cs를 가감해서 T가 무전류(無電流)로 되면, 이때

 브리지회로 본문 이미지 2

인 관계가 있다. [그림 3]에서는 Lx는 측정되는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Rx는 그 코일의 저항, P, Q, Rs 및 인덕턴스 는 기지이며, 이들 값을 가감해서 T를 무전류로 했다고 하면, 이때

브리지회로 본문 이미지 3, 브리지회로 본문 이미지 4

인 관계가 있다. 교류브리지의 종류는 자체인덕턴스 측정용인 맥스웰브리지, 전기용량 ·유전손실각 측정용인 셰링브리지, 상호인덕턴스 측정에 쓰이는 캐리포스터브리지, 철손(鐵損)의 측정에 쓰이는 변형헤이브리지 등이 있다. 또, 브리지 4변에 다이오드를 배치한 수백 W 이하의 소용량 전파정류(全波整流)에 쓰이는 단상 브리지 정류회로도 있다. 교류브리지는 임피던스 측정 외에도 주파수 측정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