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포화화합물

불포화화합물

[ unsaturated compound , 不飽和化合物 ]

요약 탄소원자 사이에 이중결합(에틸렌 결합) 및 삼중결합(아세틸렌 결합)을 가진 화합물로 포화화합물과는 탄화수소기 부분이 포화인가 불포화인가에 따라 구별한다. 불포화탄화수소기가 사슬 모양인가 고리 모양인가, 또는 에틸렌결합을 가지는가 아세틸렌결합을 가지는가에 따라 분류되는데, 불포화알코올·불포화케톤·불포화카복실산 등과 같이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수소·할로젠·할로젠화수소 등을 첨가하면 포화화합물로 변한다. 포화화합물과는 탄화수소기 부분이 포화인가 불포화인가에 따라 구별하는데, 예를 들면 카보닐기와 같이 불포화결합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도 포화탄화수소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포화화합물이라 하지 않고 포화알데하이드 또는 포화케톤이라 한다.

또 벤젠고리나 그 밖에 방향족고리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으나 보통의 에틸렌결합의 반응성을 보이지 않으므로, 이들 고리를 함유하고 있어도 불포화화합물이라고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포화 사슬 모양 카복실산은 불포화지방산이라고도 하는데, 유지(油脂) 성분으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또한 에틸렌결합이나 아세틸렌결합과 작용기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α·β-불포화카보닐화합물에서 불포화결합과 카보닐결합은 걸러 짝지은 위치에서 서로 작용을 미친다.

이에 대하여 두 결합 사이에 포화된 탄소가 있는 β·α-불포화화합물 등에서는 걸러 짝짓지 않으므로 양쪽 결합은 각각 고유의 성질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