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 Buncheong Flat Bottle with Sgraffito Lotus and Fish Design , 粉靑沙器 剝地蓮花魚文 扁甁 ]

요약 조선시대(15세기)에 만들어진 분청사기 병. 1974년 7월 9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74년 7월 9일
소장 호림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
크기 높이 22.5cm, 입지름 5.2cm, 밑지름 8.6cm

1974일 7월 9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2.5cm, 입지름 5.2cm, 밑지름 8.6cm이며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부단한 노력으로 사실적인 문양을 재구성하고 충만한 생동감 속에 자유분방한 기운을 풍기는 것이 분청사기가 보여주는 특질의 하나라면, 이 편병은 그러한 특질을 가장 멋있게 표현한 작품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그릇 표면에 나타난 문양은 목과 어깨부분에 일종의 연꽃잎 띠가 표현되어 있고 그릇 정면의 편평한 면에는 대담하게 표현된 연꽃잎과 이를 중심으로 물고기가 움직이고 있는 그림을 율동감 있게 배열하여 자유분방한 멋을 풍기고 있다. 측면은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상 ·중에 연꽃잎의 그림을 적절히 배치하고 하부에는 연꽃을 중첩되게 배열하였다.

그릇 표면의 유약에는 살얼음이 갈라진 상태의 빙렬(氷裂)이 나타나 있고, 담갈색을 머금은 유약이 두껍게 칠해져 있으며 바탕흙은 담갈색이다.

참조항목

도자기, 분청사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