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별침전

분별침전

[ fractional precipitation , 分別沈澱 ]

요약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전시약(沈澱試藥)을 가하여, 용해도의 차를 이용해서 두 종류 이상의 침전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침전의 용해도의 차가 클수록 분리는 완전에 가까워지며 무기이온의 분리, 고분자의 분리 등에 이용된다.

염소 이온과 아이오딘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에 질산은 용액을 가하면 아이오딘화은이 먼저 침전하므로, 이것을 여과하면 양자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동일한 침전시약에 의하여 생기는 침전의 용해도의 차가 클수록 분리는 완전에 가까워진다. 예를 들면, 염화은은 아이오딘화은보다 100만 배 정도 용해도가 크므로, 용액 속의 염소 이온 농도가 아이오딘 이온 농도의 100만 배가 되었을 때 비로소 염화은이 침전하게 된다. 분별침전은 용액의 온도, 수소이온농도 pH, 공존물질의 종류 등을 조절하여, 무기(無機) 이온의 분리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고분자의 분리에도 응용된다.

역참조항목

아이오딘화은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