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메랑효과

부메랑효과

[ boomerang effect ]

요약 어떤 행위가 행위자의 의도한 목적을 벗어나 불리한 결과로 되돌아오는 상황을 가리키는 용어.

부메랑은 본래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 에보리진(Aborigine)이 사냥이나 전쟁 시에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하던 도구이다. 부메랑은 평평한 막대기 모양으로 중간 부분이 구부러져 있어 공중으로 던지면 다시 되돌아오는 속성을 가지는데, 이와 관련하여 부메랑 효과는 어떤 행위가 행위자의 의도한 목적을 벗어나 불리한 결과로 되돌아오는 상황을 가리킨다.

부메랑 효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경제원조나 자본을 투자한 결과 개발도상국이 품질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생산하여 선진국에 수출하게 되면서 도리어 선진국이 개발도상국과 해당 산업에서 경쟁해야 하는 결과를 가져온 경우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패전국이었던 독일과 일본은 미국의 막대한 원조를 바탕으로 각종 산업을 육성시켰고, 그 결과 오늘날에는 우수한 기술로 세계의 경제를 주도하게 되었으며 미국에게는 부메랑 효과가 되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인간의 무분별한 자연 개발이 초래한 환경 파괴가 인간에게 다양한 환경 문제나 자연재해로 돌아와 다시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설득을 강요하여 상대방의 자유를 제한하면 할수록 도리어 역효과를 가져와 상대방이 원래의 설득 의도와 반대로 행동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은 강요하는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동조하지 않으려는 부메랑 효과가 발생한 예가 된다.

역참조항목

부메랑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