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난방

복사난방

[ radiant heating , 輻射煖房 ]

요약 특수한 방열면(放熱面)으로부터의 열복사를 이용하는 난방법을 말하는데, 실온이 낮아도 난방효과 있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천장이 높은 방의 난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증기난방이나 온수난방장치를 한 방의 벽·바닥·천장 등의 표면온도는 실내기온보다 낮으므로 재실자(在室者)의 피부나 의복의 표면에서 복사에 의해 열이 방산된다. 실내의 주벽의 표면온도를 높이면 재실자의 복사방열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실온을 다소 내려도 좋은 온감(溫感)을 얻을 수 있다. 보통 난방법을 복사난방법에 대응해서 대류난방이라 한다.

복사난방의 특징은 ① 인체의 표면이 방열면에서 직접 열복사를 받는다. ② 실온이 낮아도 난방효과가 있다. ③ 열복사는 상당히 높은 천장에서 바닥까지 도달하므로 보통 난방으로는 거의 불가능한 천장이 높은 방의 난방이 가능하다. ④ 복사난방은 높이에 따른 실온의 변화가 적으므로 보통 난방일 경우에 나타나는 두열족한(頭熱足寒)의 결점이 없고, 바닥복사난방일 때는 두한족열(頭寒足熱)의 인체보온 원칙에 합당하므로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점 등이다.

복사난방에는 구조복사난방과 고온 패널식 복사난방의 두 가지가 있다.

① 구조복사난방: 바닥·벽·천장 등 건물구조체 내부에 온수관 등을 매입해서 넓은 저온도의 방열면을 구성하는 방식인데, 열용량이 대단히 커서 예열시간이 길고 관성이 크므로 외기온(外氣溫)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렵다.

② 고온 패널식: 복사난방 천장면에 반사판이 달린 전열기·가스방열기 또는 증기 패널 등 고온의 방열기를 설치하는 방식인데, 천장이 특히 높은 방에 적합하다. 장치 자체의 열용량이 적고 방열기에 열매(熱媒)를 통하면 실내공기가 더워지기 전에 열복사에 의한 난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