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

복막투석

[ peritoneal dialysis , 腹膜透析 ]

요약 말기 신부전증 치료의 한 방법.

복막관류(腹膜灌流:peritoneal lavage)라고도 한다. 살균한 투석액을 복강 내에 주입하여 환자의 체내에서 단백질대사의 결과로 생긴 질소를 함유한 노폐물과 과량의 물을 복막을 통해 제거하고 혈장의 산-염기평형과 전해질농도를 개선시키는, 신부전에 대한 치료법이다.

이 방법은 1959년 맥스웰이 복막관류액의 기본조성을 개발한 이래 임상응용되어 현재도 요독증 치료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복강에 삽입한 카테테르로 관류액(1.5~2 ℓ)을 약 10분간 주입하고 60~90분간 체액(滯液)시킨 뒤에 배액(排液)한다. 이것이 1회의 치료이고 이것을 10~15회 되풀이하는 것이다.

전에는 1명의 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복막투석의 치료횟수가 많아야 50~60회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근래에는 개량된 부드러운 카테테르(Tenckhoff 型)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혈관의 상태가 나빠 혈액투석을 할 수 없는 만성신부전 환자에게도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 시행할 수 있게 되었고, 자동복막 투석장치도 개발되었다.

이 방법에는 간헐적 복막투석법(IPD:intermittent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과 지속적 외래복막투석법(CAPD:chronic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의 두 가지가 있다. 혈액투석과 비교하면 특별한 장치가 필요없고 항응고제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비용도 적게 든다. 요독증성 물질의 제거 효율도 높고 물·전해질의 조정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결점은 조작이 번거롭고 장시간 걸리며, 단백질 누출이 있고 복막염에 걸릴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참조항목

신부전, 요독증

역참조항목

인공투석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