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동 승탑

장흥 보림사 동 승탑

[ East Stupa of Borimsa Temple, Jangheung , 長興 寶林寺 東 僧塔 ]

요약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승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 10-1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3.6m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서 북동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숲에 자리한 승탑(僧塔)이다. 승탑(부도)은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봉안하는 묘탑(墓塔)으로, 고승이 입적한 후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세웠다. 승탑 건립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승탑의 주인과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승탑의 조형 양식으로 볼 때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흥 보림사 동 승탑이 위치한 부도전(浮屠殿: 승탑을 모아 놓은 장소)에는 최근에 조성된 승탑을 포함하여 총 8기의 승탑이 언덕을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이 중 장흥 보림사 동 승탑이 가장 빼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승탑의 구성과 양식

화강암으로 제작된 팔각원당형 승탑으로, 높이는 3.6m이고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장흥 보림사 동 승탑 본문 이미지 1

기단부는 하대석·중대석·상대석을 얹어 구성했다. 하대석은 2단으로 조성되었으며, 하단에는 팔각의 돌 각 면에 안상(眼象)을 새겼고, 상단에는 반구형 돌에 복련(覆蓮: 엎어놓은 연꽃무늬)을 조각한 후, 꽃잎에 꽃봉오리 문양을 장식했다. 중대석은 팔각의 돌기둥으로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았으며, 상대석에는 앙련(仰蓮: 솟아오른 연꽃무늬)을 조각하여 하대석의 복련과 대칭을 이룬다.

장흥 보림사 동 승탑 본문 이미지 2

탑신부는 승려의 사리를 보관하는 곳으로, 전체 8개의 면 중 한 쪽 면에만 문(門) 모양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 문양를 조각하였다. 지붕돌(옥개석)은 팔모지붕의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지붕의 추녀 끝에는 꽃봉오리 문양의 막새를 조각했다.

장흥 보림사 동 승탑 본문 이미지 3

상륜부에는 보륜(寶輪), 보개(寶蓋), 보주(寶珠) 등을 차례로 올렸다.

장흥 보림사 동 승탑 본문 이미지 4

가치 및 의의

장흥 보림사 동 승탑은 통일신라 승탑의 기본 양식인 팔각원당형의 승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승탑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전체적으로 온전한 형태를 보존하고 있으며, 기단부와 상륜부의 정교한 조각 장식은 예술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역사적·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