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별적자질

변별적자질

[ distinctive feature , 辨別的資質 ]

요약 한 음성형식을 단지 그것만의 차이에 의하여 다른 음성형식과 구별시켜 주는 음적 특성.

변별적 특징, 변별적 소성이라고도 하며, 시차적(示差的) 자질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언어학의 최소단위를 음운(音韻)으로 본 데 비하여 음운을 더 나누어서 변별적 자질의 묶음으로 보는 견해에 의하여 발달된 개념이다. 가령 국어의 ‘ㄱ’과 ‘ㅋ’을 구별시켜 주는 유기성, ‘ㄴ’과 ‘ㄷ’을 구별시켜 주는 비음성(鼻音性) 등이 그 한 예이다.

변별적 자질로 음운을 정의한 R.야콥슨, G.판트, M.할레 등에 의하면 음운이란 “한 동시적 묶음으로 결합된 모든 변별적 자질”이라고 정의하고 각각 자질들을 극단적인 양분대립(兩分對立) 또는 이항대립(二項對立:binary opposition)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파악하였다. 즉, 그러한 자질의 유무에 따라서 +와 -의 대립으로 기술하며 각각의 음운은 이러한 자질들의 묶음으로 기술된다.

원래의 자질이론은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는 음운론적 대립을 기술해 주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이나 점차 넓게 적용이 되어 생성음운론의 이론을 확립한 N.촘스키와 할레에 이르면 위의 용도 이외에도 기저음운뿐 아니라 음운규칙에 의해 도출되는 요소의 음성적 내용까지 기술하게 되었다.

자질의 구체적인 내용은 크게 보아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조음(調音)의 방법과 위치 그리고 성대(聲帶)의 진동유무를 자질로 삼는 조음적 자질이고, 다른 하나는 음성실험기기의 발달에 따라 사운드 스펙트럼(sound spectrum)의 에너지가 집중되는 주파수에 따른 특징을 자질로 삼는 음향적 자질이다.

이러한 자질들은 모음과 자음을 동시에 규정해 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촘스키와 할레에 의해 제시된 자질 중 중요한 자질들은 다음과 같다.

① 주요부류 자질:향음적(響音的:sonorant), 모음적(母音的:vocalic), 자음적(子音的:consonantal). ② 동공(洞空) 자질:설첨적(舌尖的:coronal), 즉 혀면이 중립위치에서 들어 올려지는 소리, 전방적(前方的:anterior), 즉 장애가 경구개-치조부위의 앞부분에서 생기는 소리, 비음적(鼻音的:nasal), 원순적(圓脣的:round). ③ 조음방법(調音方法) 자질:지속적(持續的:continuant), 긴장적(緊張的:tense). ④ 원천(原泉) 자질:소음적(騷音的:strident), 유성적(有聲的:voice).

참조항목

문법, 언어학, 음성학

역참조항목

변별, 로만 야콥슨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