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법흥왕릉

경주 법흥왕릉

[ Tomb of King Beopheung, Gyeongju , 慶州 法興王陵 ]

요약 경주시 효현동에 있는 신라 법흥왕의 능. 1969년 8월 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경주 법흥왕릉

경주 법흥왕릉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69년 8월 27일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63번지
시대 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크기 보호구역 72,689㎡

1969년 8월 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보호구역 면적이 7만 2,689㎡이다. 539년경 조성되어, 선도산(仙桃山) 서쪽 기슭을 이용하였으며, 규모는 크지 않고 표식의물(表飾儀物)도 없다. 다만 봉토(封土) 밑 주위에 드문드문 자연석의 일각이 노출되어 있어, 무열왕릉의 경우와 같이 여기에도 봉토 밑에 어떠한 호석(護石)시설이 있지 않았나 추측된다. 주변에는 소나무숲이 울창하나, 많은 업적을 남긴 왕의 능묘로서는 매우 빈약하다.

기록에 애공사(哀公寺) 북쪽 봉우리에 법흥왕을 장사지냈다 하였는데, 지금의 효현동에는 애공사터라고 전하는 3층석탑이 1기 있고, 법흥왕릉은 이 탑의 북서쪽에 있으므로 신빙성이 있다고 하겠다.

참조항목

, 법흥왕

역참조항목

선도동, 효현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경주 법흥왕릉 신라 23대 법흥왕의 무덤 사적 제176호 경주시 선도산 남쪽 자락에 있으며 높이 2m, 지름 14m의 크기로 신라시대 왕릉으로는 비교적 작은 편에 속한다. 왕릉 둘레는 자연석으로 기단을 둘렀으며 흙으로 구릉을 쌓은 단조로운 형태이다. 상석과 표지석이 세워져 있고 주변은 소나무 숲으로 울창하다. 법흥왕은 왕권이 강화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의 체제를 완성하고 율령을 반포하였으며 건원(建元)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과 함께 불교를 국교로 삼았다. 초기 신라는 왕릉을 한곳에 밀집하여 조성하였으나 법흥왕 이후부터는 외곽에 2~3기씩 따로 분산시켰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