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 Wontongbojeon Hall of Beopjusa Temple, Boeun , 報恩 法住寺 圓通寶殿 ]

요약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 법주사 경내 대웅보전의 남서편에 있는 건물. 1987년 3월 9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7년 3월 9일
소재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시대 조선시대 중기(인조)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크기 정면 3칸, 측면 3칸

1987년 3월 9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측면 각 3칸, 주심포계(柱心包系) 모임지붕 건물이다. 1624년(인조 2) 벽암(碧岩)선사가 중건한 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고, 1974년 해체·보수하였다. 지붕 정상부에 절병통을 얹은 작은 규모의 아담한 건물이다. 기단은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지대석과 면석, 갑석을 짜 만들었고, 정면에는 가공된 계단을 설치하였다. 기둥의 배치는 내고주(內高柱)와 평주(平柱)로 되었고, 내고주는 평주의 어간(御間)을 맞추어 마치 목탑의 사천주(四天柱)와 같이 놓였다. 뒤쪽 고주 사이에는 불벽을 만들어 탱화(幀畵)를 그리고 그 앞에 불단을 놓아 관세음보살상을 봉안하였다. 건물의 전면은 정자살창을 두고 양측면과 후면은 벽을 두었는데, 후면 중앙과 서면 중앙 및 전면쪽 협칸에는 각기 출입문을 두었다.

건물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짜고, 천장은 고주가 있는 부분을 경계로 내측은 한단 높여 좀 규격이 큰 우물반자로 가설하고, 외부쪽으로는 이보다 낮게 우물반자를 가설하였다. 공포(栱包)는 내·외 3출목의 다포형(多包型) 첨차(檐遮)와 살미를 두었지만 주심에만 포작을 둔 주심포식 구조이다. 따라서, 공간포 없이 정면 중앙칸에만 화반을 두어 주심포계이면서 다포형 포부대를 사용하고, 또 평방을 둔 것이 이 건물의 특징이다. 단청은 근래에 보수하여 금단청을 시문하였다.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아담한 분위기를 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조선후기 승려 벽암대사가 중건한 법주사의 법당 보물 제916호 법당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기둥의 위에만 공포를 짜올리는 주심포계, 4면의 지붕이 중심으로 모이는 사모지붕으로 지어졌다. 지붕의 꼭대기에는 화강석으로 만든 절병통이 놓여있다. 내부의 불단에는 높이 2.8m의 목재로 만든 관세음보살좌상이 있다. 천장은 우물반자로 나무를 짜맞추어 단청으로 장식했다. 법주사 원통보전은 553년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1624년에 벽암대사가 중건하고 1974년에는 해체하여 완전 복원하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