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시

백화시

[ 白話詩 ]

요약 중국의 구어체로 쓴 신시(新詩).

구시(舊詩)의 반대 개념이다. 구시의 전통은 뿌리가 매우 깊어 백화시 운동은 처음부터 전투나 다름없는 숙명적인 것이었다. 문학혁명의 풍조 속에서 중국의 시도 옛날의 틀에 박힌 형식에서 자유스러운 것을 찾아 루쉰[魯迅]은 일찍이 1907년 《마라시역설(摩羅詩力說)을 써서, 바이런, 셸리, 푸시킨, 레르몬토프, 폴란드의 미츠키에비치, 헝가리의 페테피 등을 소개하였고 그 밖에도 괴테, 하이네, 휘트먼 등이 신시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우선 후스[胡適]는 1916년경부터 백화시를 시작(試作)하기 시작하였고 1920년에는 《상시집(嘗試集)》을 출판하였는데 이것이 중국 최초의 신시집이었다. 신시의 격조와 형식을 수립하는 데 처음으로 가장 많이 활동한 사람은 류반눙[劉半農]이었고, 이것을 부연하여 발전시킨 사람은 주쯔칭[朱自淸]이었다.

그러나 한편 5·4운동(1919년 5월 4일에 일어난 중국의 민중운동)의 사상혁명적 정세하에서 시의 내용에도 혁명적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리다자오[李大釗]·류다바이[劉大白] 외에 궈모뤄[郭沫若]는 1921년에 《여신(女神)》을 출판, 그 혁명적 낭만주의는 당시 청년들의 공감을 샀다. 그 후 소련에서 돌아온 장광츠[蔣光慈]가 1925년 《신몽(新夢)》을 가지고 프롤레타리아 시인으로 등장함으로써 혁명색(革命色)을 짙게 풍기었으나 이로부터 중국시단도 5·4운동으로부터의 혁명진영이 분화하기 시작하여 의혹·방황·고민의 흔적이 역력하였다. 당국의 근대시를 모방한 신월파(新月派)와 프랑스 상징파의 영향을 받은 상징파가 그것이다.

신월파에서는 쉬즈모[徐志摩]·주샹[朱湘]이 활약하였고, 뒤에 내전 반대파(內戰反對派)로서 암살당한 원이둬[聞一多]도 이에 속했는데, 궈모뤄, 루쉰 등과는 대립되는 입장이었다. 상징파에서는 리진파[李金髮]가 환상적이며 감상적인 작품을 발표하였다. 1930년에는 좌익작가연맹이 성립되어 펑나이차오[馮乃超]·커중핑[柯仲平] 등이 활약하였는데 젊어서 죽은 인푸(殷夫)가 주목할 만한 작품을 남겼다.

1932년에는 중국 시가회(詩歌會)가 발족되어 반제국주의와 반일(反日)의 기치를 높이 들었고 거칠기는 했으나 리얼리즘을 몸에 익힌 푸펑[蒲風], 격조가 높고 생활에 뿌리를 내린 짱커자[臧克家]가 출현하였다. 이 무렵 역시 신월파의 볜즈린[卞之琳]이 프랑스 주지주의(主知主義)를 표방하고 나섰고, 상징파의 연장으로서는 다이왕수[戴望舒]의 현대파가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전의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 아이칭[艾靑], 톈젠[田間] 등이 나왔는데, 아이칭은 유럽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중국 현실에 입각한 작품을 썼으며, 톈젠은 마야콥스키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단행시(短行詩) 형식으로 농촌을 묘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서부터 애국시가(愛國詩歌)는 대중과 접근하여, 리지[李季]의 《왕구이[王貴]와 리샹샹[李香香]》 등의 민가체(民歌體)의 신시를 탄생시켰으며, 이때부터 시는 공장과 농촌에 노래로 변하여 퍼져나가게 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