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선균류

방선균류

[ Actinomycetales , 放線菌類 ]

요약 균류 방선균강의 한 목.

방선상균(放線狀菌)이라고도 한다. 방선균은 동물에 병원성이 없는 것과 있는 것으로 나뉘는데, 병원성이 없는 것을 스트렙토미세스과(Streptomycetaceae)라고 하고, 병원성이 있는 것은 악티노미세스과(Actinomycetaceae)라고 한다. 또한, 전자에서는 공기 중의 균사(菌絲)에 분생포자가 생기는 것을 스트렙토미세스속(Streptomyces)이라 하고, 짧은 분생자 자루 위에 1∼수개의 분생포자가 생기는 것을 미크로모노스포라속(Micromonospora)이라 한다. 후자에서는 무산소성형으로 항산성(抗酸性)인 동물병원균을 악티노미세스속(Actinomyces)이라 하고, 산소성형으로 일부 항산성인 균을 노카르디아속(Nocardia)이라고 한다.

방선균은 전부 268종이 알려져 있다. 방선균은 균사 형태로 발육하는데 균사는 분지(分枝)되어 공기 중으로 균사를 내는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한 덩어리[集塊]가 되어 배지(培地)에 점착한다. 대부분이 그람양성균이다. 방선균의 감별에는 영양균사체(배지 속으로 침입한 균사)의 색소 생산능력이나, 공기 중의 균사에 분생포자가 붙어 있는 모양이나, 또는 인공배지의 착색성 등 여러 성질에 의하여 분류한다. 스트렙토미세스속의 방선균은 대부분 토양 속에 존재하고, 흙 속에서는 세균류 다음으로 생존균수가 많아 흙 1 g 속에 100만에서 1,000만 개의 방선균이 있다. 이 균의 발육에는 중성에서 알칼리성(pH 6.8∼8.0)이 양호하고, 이탄지(泥炭地)와 같은 산성 토양에는 생존이 극히 적다.

발육온도는 25∼38 ℃로 폭이 넓고, 주로 토양 중의 유기물을 분해한다. 흙 속에 있는 균의 수는 양토에 많고 사토에는 적다. 봄에는 적고 가을 특히 낙엽이 쌓이는 토지나 삼림토양에 많다. 토양 표면에는 적고, 표토 밑에 가장 많으며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유용한 항생물질(抗生物質)인 페니실린을 제외하고 거의 이 방선균에 의하여 생산된다. 각종 병원균의 발육을 저지하는 것에는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테트라시클린 ·오레오마이신 ·테라마이신 등이 있고, 또 식물의 균류(사상균)병 방제에 유효한 것으로는 블라스트사이진 S ·카스가마이신 ·폴리옥신 ·시클로헥시미드 등이 있다. 그 밖에 암에 특효가 있는 물질도 방선균에 의하여 생산된다. 또, 비타민 B12를 다량으로 만드는 종류도 있어 발효법에 의한 B12를 제조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최근 강력한 프로테아제를 분비하는 방선균이 발견되어 효소제로서의 용도도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