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검사

발췌검사

[ sampling inspection , 拔萃檢査 ]

요약 제품 또는 재료의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

전수(全數)검사와 대응하는 말이다. 많은 상품(제품 ·화물 등)의 품질을 검사할 경우, 몇 개만을 뽑아내어 검사하고, 그것으로 전체의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원래 전수검사는 조금이라도 불량품이 있으면 결과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라든지, 검사비용에 비하여 효과가 큰 경우에 행해지며, 전수검사가 불가능한 경우라든지, 파괴검사나 석유 ·전선과 같은 연속체의 경우에는 발췌검사를 한다. 또 다소 불량이 용인될 경우에는 검사비용이 덜 들기 때문에 이 방법을 택한다. 발췌검사는 완성품에 대해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정(工程) 도중에도 행하는데, 이를 공정발췌검사라고 한다.

발췌검사의 성공여부는 시료(試料:실제로 검사하기 위해 뽑아낸 것)의 추출방법 여하에 있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① 1회 발췌 ② 2회 발췌 ③ 다수회 발췌가 있다.

①은 시료를 1회 추출하고, 그것이 허용 불량수를 넘지 않을 때 전부를 합격시킨다.

②는 1회의 발췌로는 일정기준에 따라 판정할 수 없을 때, 2회째의 발췌로 합격여부를 정하는 방법이며,

③은 로트(1군의 검사대상)에 대해 여러 차례의 발췌검사를 하는 방법이다.

발췌검사는 192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된 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활발히 연구 ·사용되어 많은 성과를 올렸으며, 이제는 통계학의 발달로 전수검사와 동일한 품질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