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콘덴서

반도체콘덴서

[ semiconductor condenser ]

요약 자기(磁器)콘덴서의 유전체(誘電體)로서 티탄산바륨을 사용하고, 티탄산바륨 반도체자기의 표면 또는 결정립계(結晶粒界)에 얇은 절연층을 만든 것.

즉, 반도체의 p-n접합에 역(逆)바이어스 전압(p영역을 n영역에 대하여 음전압으로 한다)을 가하면, p영역 내의 양공(陽孔:정공)은 음전위(陰電位)에 끌리고, n영역 내의 전자(電子)는 양전위에 끌려서 물리적 p-n접합의 양쪽에, 전자 및 양공이 없는 영역, 즉 공핍층이 생긴다. 이 영역 내에는 이동할 수 있는 전하가 없으므로 절연체를 형성하게 되며, 공핍층을 유전체로 하여 그 양끝 면에 전극이 있는 콘덴서가 형성된 결과가 된다.

반도체 콘덴서에서는 가하는 전압을 높게 하면, 공핍층의 폭이 증대하고 전기용량(capacitance)은 감소하나, p형 및 n형 영역의 불순물농도, 즉 받개(acceptor) ·주개(donor)의 밀도 분포를 바꿈으로써 전압-커패시턴스 특성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반도체 콘덴서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자동동조(自動同調), 저잡음수신에 사용되는 파라메트릭 증폭기, 반도체집적회로의 커패시터 등에 사용되는 반면, 각종 반도체소자의 기생(寄生) 커패시터로 되어 회로특성을 열화(劣化)시키는 원인으로도 되어 있다.

참조항목

축전기, 피엔접합

역참조항목

도너, 전기용량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