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론유수

바빌론유수

[ Babylonian Captivity ]

요약 BC 597~BC 538년 이스라엘의 유다왕국 사람들이 신(新)바빌로니아의 바빌론으로 포로가 되어 이주한 사건.
언제 BC 597~BC 538년
누가 이스라엘의 유다왕국 사람들
어떻게 예루살렘 함락, 이스라엘의 유다왕국 사람들이 신(新)바빌로니아의 바빌론으로 포로가 되어 이주한 사건

BC 601년 신바빌로니아왕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유다왕국에 공격하여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BC 597년 유대인을 바빌론에 포로로 데려갔다. 이것이 첫 번째 유수이며 두번째는 BC 586년의 일로, 예루살렘은 함락되어 완전히 파괴되고 당시의 왕 제데키아(시드키야)는 제리코(예리고)에서 붙잡혀 맹인이 되었으며, 대부분의 주민이 바빌론으로 끌려갔다. 세번째는 BC 582년의 일로, 유다의 모든 고대도시가 파괴되고 주민도 포로가 되었다. 잡혀간 유대인은 지구라트 건설에 동원되었다.

《예레미야》 52장 30절에 의하면 포로의 수는 전후 3회에 걸쳐 4,600명이라고 기록되었으나 이것은 남자만의 수일 것이며, 부녀자를 포함하면 4만 5,0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당시 유다의 총인구는 약 25만으로 추정되며, 포로는 왕국 사회의 중핵층인 귀족 ·군인 ·공인(工人) 등이었다. 이 포로는 BC 538년 페르시아의 키로스 2세의 포고로서 귀환이 허용되었다. 포로는 바빌론에서 종교적 자유는 허용되었으나, 예루살렘 신전에서와 같은 제의(祭儀)는 할 수 없었다. 대신 안식일 예배가 중심이 되어 회당(會堂)에서의 율법낭독과 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예배의식이 비롯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모세시대에서 그들의 시대까지의 역사인 《신명기(申命記)》에서 《열왕기(列王記)》까지가 편찬되었다. 5세기 후반에 느헤미야 ·에즈라 등이 귀국하면서 새로운 법전(法典)이 나오고 민족이 재건되었으며, 유대교가 성립되었다. 이 사건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일대 시련이었으나, 약 반 세기 동안 포로들은 온갖 고난을 겪으면서도 바빌로니아의 문화에 접하여, 구약성서의 근간이 된 헤브라이의 여러 문서를 집성하였다. 또한 팔레스타인에서의 유다인 공동체 회복의 원동력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