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천왕

미천왕

[ 美川王 ]

요약 고구려의 제15대 왕(재위 300∼331). 국토 확장에 진력하였다. 현도군을 공격하여 요동 서안평을 점령하고 313년 낙랑군을 멸망시켰다. 314년에는 대방군을 정벌하여 영토로 삼았다.
출생-사망 ? ~ 331
국적/왕조 고구려
재위기간 300년∼331년
본명 을불(乙弗) ·우불(憂弗)
활동분야 정치

성 고씨(高氏)이고 이름 을불(乙弗) ·우불(憂弗)이다. 서천왕의 손자이며, 고추가(古鄒加)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큰아버지 봉상왕이 아버지를 죽일 때 민가(民家)에 숨어 화를 면하였으며, 소금장수 등을 하며 지냈다.

뒤에 국상(國相) 창조리(倉助利) 등이 봉상왕을 폐하자 왕위에 올랐다. 국토 확장에 진력하여, 302년 군사 3만으로 현도군(玄菟郡)을 공격, 적군 8,000명을 사로잡았다. 311년 요동 서안평(西安平)을 점령하였으며, 313년 낙랑군(樂浪郡)을 공략하여 적군 1,000명을 사로잡았다. 이로써 낙랑군은 멸망하였다. 314년 대방군(帶方郡)을 정벌하여 영토로 삼았다.

당시에는 요동지역을 지배해 오던 진(晉)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선비족(鮮卑族)의 일파인 모용부(慕容部)가 세력을 확장하였다. 고구려는 영토확장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이들과 자주 충돌했다. 그래서 고구려는 진의 평주사자 최비 등과 연합하여 모용부를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요동지역은 모용부의 영토가 되었다. 미천왕은 그 이후에도 요동지역을 차지 하기 위해 모용부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미천왕은 죽은 뒤, 미천지원(美川之原)에 묻혔다.

 
미천왕 본문 이미지 1 



사유(고국원왕)

참조항목

봉상왕, 서천왕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