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애무

무애무

[ imagefont ]

요약 궁중무용.

신라 때(일설로는 고려 때) 만들어지고 조선시대에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로 다듬어진 춤으로, 불교의 포교적 내용을 담았던 원래의 모습이 고려나 조선을 거치면서 점차 오락화되거나 왕가의 번영을 송축(頌祝)하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조선 순조(純祖) 때 지어진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실려 있는 이 춤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음악이 《만년환지곡(萬年懽之曲)》을 연주하면 악사가 호로(葫蘆)를 들고 전내(殿內)에 놓고 나온다. 이어 박을 치면 2명의 여기(女妓)가 앞으로 나가 “성인미채(聖人眉彩)는 전중앙(殿中央)이시니 아악육요(雅樂六么)에 화자무(花字舞) 무애무 본문 이미지 1니…”라는 노래를 가곡(歌曲)인 《편(編)》에 맞추어 부른다.

끝나면 호로병을 어르며 춤을 추다가 다시 “남산송백(南山松栢) 빗치 장춘(長春)코 불로(不老)탓다…”하는 창사(唱詞)를 부른다. 끝나면 후대(後隊)의 10명이 춤추며 앞으로 나가 다같이 “빗나온 수성(壽星)이 남극(南極)이 아니신가…”라는 노래를 부른다. 이어 10명이 좌우로 나뉘어 빙빙 돌거나 서로 상대(相對) ·상배(相背)하며 춤을 춘다.

역참조항목

대한민국의 무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