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주석어록

모주석어록

[ Quotations from chairman Mao Tse Tung , 毛主席語錄 ]

요약 중국의 정치가 마오쩌둥[毛澤東]의 어록(語錄). 전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팔린 책이다.
모주석어록

모주석어록

원어명 毛主席语录
구분 어록(語錄)
저자 마오쩌둥[毛澤東]
시대 1964년

20세기 1960년대 초에 편집·출판된 책으로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당시 중국 전국에 퍼져 널리 읽혔다. 전세계적으로 50억 권에서 65억 권 정도 팔린 것으로 추정되어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팔린 책이다. 책 내용은 마오쩌둥(毛澤東)의 명언·경구(名言·警句)를 담고 있다. 책 커버를 빨간색으로 덮었을 뿐 아니라, ‘홍색(紅色)지도자의 경전(經典)’이라는 의미에서 ‘홍바오슈(红宝书, 붉은 보물 책)’라고도 불린다. 서방에서는 ‘빨간 책(영어: The Little Red Book)’이라고도 불린다.

1961년 4월 린뱌오[林彪]는 마오쩌둥이 강연에서 한 말이나, 지시 내린 말을 선별해 중국공산군 기관지인 《해방군보(解放軍報)》에 게재하도록 했다. 그리하여 5월 1일부터 《해방군보》에는 매일 마오쩌둥의 어록이 연재되었다. 1964년 5월 린뱌오는 《해방군보》에 게재되었던 마오쩌둥의 어록을 보충, 편찬하여 《모주석어록(毛主席语录)》을 출판하였는데, 자신이 직업 서문도 달았다.

처음에는 총 30장 377조의 어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65년 8월 1일에 제 2판이 출판될 때는 내용에 수정을 가하였고, 총 33장 427조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8만 8천 자였다. 64절지, 100절지, 128절지로 만들었는데, 이는 주머니에 넣어 휴대가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뿐만 아니라 표지는 빨간 비닐제로 제작하여 땀에 젖지 않도록 하였다.

문화대혁명 당시에는 ‘사람이 굶어도 잠을 자지 않아도, 《모주석어록》은 반드시 들고 다녀야 한다’는 말이 있었고, 남녀가 결혼을 할 때 《모주석어록》을 예물로 주고받기도 했다. 또 홍위병(紅衛兵)들에게는 상시 휴대하도록 했는데, 홍위병들이 집회마다 《모주석어록》을 손에 들고 흔들며 마오쩌둥에게 지지를 표하는 장면은 문화대혁명의 상징이 되었다.

책의 출판목적은 마오쩌둥의 사상을 많은 이들에게 주입시키기 위함이었다. 문화대혁명 당시 《모주석어록》은 모든 이들의 행동 지침이었다. 책의 내용은 학교나 군대에서 광범위하게 학습되었고, 모든 산업 현장에서도 생산규범으로 이용되는 등,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미쳤다. 또 책 속에서 발췌한 문구들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표어로 내걸렸고, 선전포스터 속 인물들은 모두 《모주석어록》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공산당(共产党)
2. 계급과 계급투쟁(阶级与阶级斗争)
3. 사회주의와 공산주의(社会主义与共产主义)
4. 인민내부모순을 처리하는 방법(正确处理人民内部矛盾)
5. 전쟁과 평화(战争与和平)
6. 제국주의와 반동파는 종이호랑이에 지나지 않는다. (帝国主义和一切反动派都是纸老虎)
7. 과감히 투쟁하고, 과감히 승리한다.(敢于斗争 , 敢于胜利)
8. 인민전쟁(人民战争)
9. 인민군대(人民军队)
10. 당위원회의 지도(党委领导)
11. 군중노선(群众路线)
12. 정치공작(政治工作)
13. 관병관계(官兵关系)
14. 군민관계(军民关系)
15. 3대민주(三大民主)
16. 교육과 훈련(教育与训练)
17.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为人民服务)
18. 애국주의와 국제주의(爱国主义和国际主义)
19. 혁명의 영웅주의(革命英雄主义)
20. 근검건국(勤俭建国)
21. 자력갱생, 각고분투(自力更生,坚苦奋斗)
22. 사상방법과 공작방법(思想方法和工作方法)
23. 조사연구(调查研究)
24. 잘못된 사상을 바로잡다.(纠正错误思想)
25. 단결(团结)
26. 규율(纪律)
27. 비평과 자아비판(批评和自我批评)
28. 공산당원(共产党员)
29. 간부(干部)
30. 청년(青年)
31. 부인(妇女)
32. 문화예술(文化艺术)
33. 학습(学习)

참조항목

마오쩌둥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