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데의 실험

멜데의 실험

[ Melde's experiment ]

요약 줄의 진동을 알아보기 위해 1859년 F.멜데가 실시한 실험이다. 소리굽쇠의 한쪽 다리는 줄을 매고, 줄의 다른 끝은 고정시켜 장력을 준 뒤, 줄의 길이와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 실험과정이다. 이 때 소리굽쇠의 진동과 줄의 진동이 공진을 일으키므로 줄을 따라 정상파가 생긴다. 이 정상파를 이용하여 줄이나 소리굽쇠의 진동수를 알아낼 수 있다.

소리굽쇠의 한쪽 다리에 줄(피아노선 등)을 매고, 줄의 다른 끝을 고정시켜 줄에 장력(張力)을 준다. 줄의 길이와 장력을 조정하면, 소리굽쇠의 진동과 줄의 진동이 공진(共振)을 일으켜 줄을 따라 정상파(定常波)가 생긴다. 소리굽쇠의 진동방향이 줄의 방향과 일치할 때에 줄의 진동수가 소리굽쇠의 진동수의 절반이면 정상파가 생기고, 또한 소리굽쇠 진동방향과 줄의 방향이 직각일 때에 소리굽쇠의 진동수와 줄의 진동수가 같으면 공진을 일으켜 정상파가 발생한다.

참조항목

공명, 소리굽쇠

역참조항목

멜데의 장치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