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중

먹중

요약 한국의 일부 가면극(假面劇)에 등장하는 주요인물.
송파산대놀이 먹중탈

송파산대놀이 먹중탈

묵승(墨僧) ·목승(目僧) ·먹승이라고도 한다. 극마다 탈의 모습 및 복장이 조금씩 다르다. 양주별산대(楊州別山臺)놀이의 먹중은 3, 4, 5, 6마당에 등장하며 모두 4명이다. 첫째 먹중은 원(元)목이라고도 하며 탈은 바가지 ·소나무 ·종이 등으로 만들며 주홍색 바탕이다. 코 ·눈썹 ·양뺨과 이마 위의 혹 등을 소나무로 깎아 붙였으며, 눈썹에는 여러 가지 채색을 하였다. 이마에는 깊은 주름이 있으며 뺨 ·이마에 금종이를 붙였고 가로 25.5cm, 세로 21cm의 크기로 되어 있다. 복장은 용장삼을 입고 붉은 띠에 회색 행전을 쳤다. 둘째 ·셋째 ·넷째는 가(假)목 ·대(代)목이라고도 하는데 탈의 재료는 역시 바가지 ·소나무 ·종이 등이며 전체적으로는 원목과 같아 가로 25.5cm, 세로 21cm의 크기이다.

봉산(鳳山)탈춤에 등장하는 먹중은 2마당에 8명이 등장하며 모두 종이로 만든 탈을 쓴다. 첫째 먹중의 탈은 주황색 바탕이며 안면 하반부에 많은 점이 찍혔다. 얼굴 여기저기에 많은 혹이 달려 있으며 눈동자가 튀어 나왔다. 가로 29cm, 세로 21cm의 크기이다. 복장(服裝)은 저고리와 잠방이 위에 장삼을 입었고, 그 위에 더그레를 걸쳤다. 다른 먹중들의 탈도 첫째 먹중과 모양 ·크기 등이 거의 같다. 송파산대(松坡山臺)놀이의 먹중은 2, 3, 4, 5, 6마당에 등장하며 모두 8명이다. 밤색 바탕의 탈을 썼으며 회색과 붉은색 장삼을 입었다. 제2마당에서 옴중과 함께 등장하여 서로 재담(才談)을 주고받은 뒤 함께 춤추다 퇴장한다.

역참조항목

김상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