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필

만년필

[ fountain pen , 萬年筆 ]

요약 펜 축(軸) 속에 잉크를 저장하고, 사용할 때 모세관현상을 이용해서 잉크가 알맞게 흘러 나오도록 만들어진 필기용구.
만년필

만년필

1809년 영국인 프레더릭 B.폴슈가 밸브식을 발명한 것이 최초이며, 1884년 미국인 L.E.워터먼에 의해 모세관 작용을 이용한 것이 실용화되고, 그동안 여러 가지로 개량되어 왔다. 축에는 에보나이트, 펜촉에는 14금을 주로 사용하고, 그 끝에 이리듐과 같은 것을 용착(熔着)시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만년필에는, 잉크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언제나 잉크가 원활하게 흘러나와서 일정하게 쓸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만년필의 개량에는 펜촉 뿐만 아니라 잉크의 보급이나 잉크가 흘러 나오는 방법, 또는 꺼내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 등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만 했다.

만년필은 잉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대별할 수 있다.

① 자동흡입식:펜촉을 장입(裝入)한 축의 목부분 끝에 연질(軟質)의 고무튜브가 달려 있고, 이것을 축허리 부분에 넣은 후, 허리에 부속된 지레를 세워 튜브 속에 있는 공기를 제거하고, 그 후 펜촉 부분을 잉크 속에 넣고 지레를 가로로 눕히면 잉크가 튜브 속으로 가득 채워지는 형식.
② 스페어식:잉크가 들어 있는 전용 튜브(스페어)가 따로 있어서, 이것을 펜촉과 연결된 축의 목부분에 장치해서 사용하는 것.
③ 펌프식:펜촉 부분을 잉크 속에 넣고, 축의 다른쪽 끝을 비틀면 잉크가 흡입되도록 한 것. 그러나 현재는 펌프식은 구식이 되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잉크의 보급은 직접 펜 축에 흡입하는 방법과, 잉크를 가득 채운 카트리지를 바꾸어 넣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만년필의 뚜껑은 사용하지 않을 때 잉크가 다른 곳에 부착하지 않게 하는 동시에, 펜촉을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참조항목

잉크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