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계수

마찰계수

[ coefficient of friction , 摩擦係數 ]

요약 수직항력과 마찰력의 비례관계를 주는 수치이다. 맞닿은 두 표면 사이의 마찰 정도를 뜻한다.

아써 모린(Arthur Morin, 1795-1880, 프랑스 물리학자)이 물체의 재질과 물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으로 실험적으로 측정되는 값이다.
 
마찰력의 크기는 수직항력에 비례하는데, 이때의 비례상수가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같은 수직항력이 작용할 때, 마찰계수가 클수록 마찰력의 크기도 커진다. 마찰력의 크기를 f, 수직항력을 N, 마찰계수를 μ(mu; 뮤)라고 할 때, f = μN의 관계가 성립한다. 마찰의 정도를 나타내는 마찰계수는 물체의 재질,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 윤활제의 유무와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물질을 구분할 수 있는 상수라고 할 수는 없다. 
 
마찰계수의 종류
최대정지마찰력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주는 정지마찰계수와 운동마찰력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주는 운동마찰계수가 있다. 이때 운동마찰계수는 일반적으로 정지마찰계수보다 작다. 운동마찰계수는 다시 미끄럼운동을 할 때의 미끄럼마찰계수와 구르는 운동을 할 때의 굴림마찰계수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굴림마찰계수는 정지한 상태에서 구르기 시작할 때의 정지굴림마찰계수와 구르는 중의 운동굴림마찰계수로 다시 나누기도 한다.

참조항목

마찰, 마찰력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