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사이트

마그네사이트

[ magnesite ]

요약 마그네사이트는 삼방정계의 결정형을 가지는 탄산 마그네슘(MgCO3) 광물이다. 구조 내에 철, 망간, 코발트 및 니켈은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소량으로 존재한다.
마그네사이트

마그네사이트

능고토석(菱苦土石)이라고도 부르며 삼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탄산마그네슘(MgCO3)이 주성분을 이룬다. 굳기는 3.5~4.5, 비중은 3~3.1, 무색, 회색, 백색, 황색, 홍색을 띠며 반투명하다. 철 성분을 함유한 결정은 황색, 갈색 등의 색을 띤다. 차가운 묽은 염산에서는 거의 발포(發泡)하지 않으나, 뜨거운 염산에서는 맹렬히 발포하며 녹는 특징을 보인다. 자형(euhedral)의 결정은 마름모 모양을 이루지만 대개는 조립질 또는 치밀질의 괴상(塊狀)으로 나타나며 토상(土狀)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마그네사이트는 접촉 및 지역 변성 지형에서 초미립암, 사문암 및 기타 마그네슘이 풍부한 암석 유형의 정맥(vein) 및 변성 생성물로 생성된다. 마그네사이트는 마그네슘 사문석(magnesium serpentine (lizardite))이 탄산화 과정을 겪으면서 아래 반응과 같이 형성된다.

2Mg3Si2O5(OH)4 + 3CO2 → Mg3Si4O10(OH)2 + 3MgCO3 + 3H2O.

 중국, 북한 등에서는 광역변성암 속에 큰 광상을 이루고 있고 시칠리아섬에서는 퇴적암 속에서 산출되기도 한다. 내화재료와 마그네슘의 원료이다.

중국의 다스차오, 북한 등에서는 광역변성암 속에 두꺼운 층상의 큰 광상(ore)을 이루고, 시칠리아섬에서는 퇴적암 속에서 산출되는 것도 있다. 내화재료와 마그네슘의 주요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마그네사이트는 보석 제작에 사용되는 구슬을 만들기 위해 연마 할 수 있다. 마그네사이트 비즈는 청록색의 빛을 내는 밝은 파란색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대담한 색상으로 염색 될 수 있다.

카테고리

  • > >
  • > >

관련이미지

마그네사이트

마그네사이트 출처: Xav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