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고자

마고자

요약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

마괘자(馬褂子)라고도 한다. 모양은 저고리와 비슷하나 깃과 동정이 없으며, 앞을 여미지 않고 두 자락을 맞대기만 하는데, 오른쪽 자락에는 단추를 달고 왼쪽 자락에는 고리를 달아 끼운다. 단추 대신 양쪽에 끈을 달아 잡아매기도 한다. 마고자는 원래 만주인의 옷으로 1887년 흥선대원군이 만주 보정부(保定府)의 유거생활에서 풀려나 귀국할 때 입고부터 퍼지기 시작하여 국속화(國俗化)되었다. 따뜻하고 보기에도 좋아 남자들이 방한용으로 입었으며, 나중에는 여자들도 입기 시작하였다. 여자들은 맨저고리·치마에 마고자를 덧입은 모습이 우아하여 겨울철뿐만 아니라 봄·가을에도 입었고, 특히 개성 여인들이 즐겨 입었다고 한다. 마고자의 멋은 단추에 있는데, 대추알 크기의 밀화·호박·금·은 등으로 만들었다.

마고자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단추, 배자, 한복

역참조항목

저고리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