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 ribonuclease , -核酸加水分解酵素 ]

요약 리보핵산 분자 속에 있는 뉴클레오티드 사이의 인산 디에스터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핵산의 구조 결정에 쓰인다.

엔도뉴클레아제의 일종이다. 비특이적 뉴클레아제인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와는 구별된다. 고등 동식물에서 세균·곰팡이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한다. 염기에 대해 특이성을 가진다. 1940년 M. 구니츠에 의해 이자에서 추출된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A는 피리미딘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이며, 타카디아스타아제에서 정제된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T1구아닐산에만 특이적인데, 모두 3'-인산체를 생성한다.

두 효소 모두 열에 매우안정하며, 대사작용, 물리화학적 성질, 아미노산 배열순서 등이 상세하게 해명되었다. 2단계 반응으로 먼저 구아닐산 잔기의 3'-하이드록시기에 붙어 있는 인산과 다음 뉴클레오시드의 5'-하이드록시기와의 사이의 결합을 절단하여 중간체의 고리 모양 인산에스터를 생성한다. 또한 계속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3'-인산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생성물은 모노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며 무기인산은 생성하지 않는다. 1965년 염기의 특이성을 이용하여 R. W. 홀리는 RNA 배열순서의 결정에 유력한 수단으로 삼았다.

참조항목

로버트 홀리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