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의 분자량측정법

라스트의 분자량측정법

[ Rast's method of molecular weight determination , ─分子量測定法 ]

요약 몰응고점내림이 큰 용매(예:장뇌 40)를 사용하여 미량시료(微量試料)의 분자량을 응고점내림법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응고점내림은 10 ℃ 이상이 되므로, 보통의 온도계로도 충분히 측정할 수 있다.

1922년에 K.라스트가 고안한 방법이다. 수 mg의 시료화합물을 그것의 약 10배량의 장뇌(樟腦)와 섞어 균일하게 융해시킨 다음, 냉각고화(冷却固化)한 것을 으깨어 그 일부를 모세관에 넣고, 보통 때의 유기화합물의 녹는점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그 녹는점을 측정한다. 순수한 장뇌의 녹는점(179 ℃)과의 차이로부터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고농도 용액이기 때문에 산출된 분자량은 근삿값이다. 응고점내림은 10 ℃ 이상이 되므로, 보통의 온도계로도 충분히 측정할 수 있다.

참조항목

분자, 분자량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