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소유고

동소유고

[ 桐巢遺稿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하정(南夏正)의 시문집.
구분 시문집(석판인쇄본)
저자 남하정
시대 1775년(영조 51)

석판인쇄본. 7권 4책. 1775년(영조 51) 아들 규(奎)가 편집, 1927년에 후손 상순(相舜)이 간행하였다. 일반적인 문집 체재를 따랐으나, 저자가 벼슬살이한 적이 없던 탓에 상소문 ·계사(啓辭) 등은 없다.

제갈 량(諸葛亮)의 입장이 되어 유비(劉備)에게 방통(龐統)을 천거하는 내용을 담은 <천방통서(薦龐統書)>와 제갈 량의 경륜을 나라를 다스리는 데 반영할 것을 주장한 <대책(對策)> 등은 재야 학자로서의 입장과 경륜을 나타낸 것이다. <덕명곡소은기(德鳴谷巢隱記)>와 <계룡기행(鷄龍記行)>은 저자가 태어난 공주지방의 산천과 그 속에서의 생활을 서술하였다.

이 밖에 천지와 군자 ·소인을 논한 글과, 문장 ·시 ·서법(書法)을 논한 글 등이 들어 있으며,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하였으나 억울하게 죽은 남이(南怡)의 공적을 높인 <남장군전(南將軍傳)>과 같은 전기도 있다.

참조항목

남이, 남하정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