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기

도정기

[ 搗精機 ]

요약 벼 ·보리 등 낟알[穀粒]의 강층(糠層)을 벗기는 기계.

곡식 등을 찧거나 쓿는 일의 조작 과정을 도정(搗精)이라 하고, 그 제품을 정미(精米) 또는 정맥(精麥)이라고 한다. 또 벼의 왕겨를 벗기는 기계를 현미기(玄米機)라 하고, 현미에 남아 있는 강층을 벗기어 정백(精白)하는 기계를 정미기(精米機)라고 한다. 보리의 도정에서는 현미와 같은 중간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보리에서 정맥을 얻게 되며, 그 도정기를 정맥기(精麥機)라고 한다.

도정기의 종류에는 수평형 원통마찰식(水平型圓筒摩擦式) ·수직형 연삭식(垂直型硏削式) ·자동순환식(自動循環式) ·회전동식(回轉胴式) ·절구방아식 ·절구나선식 등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나 한국에 많이 보급된 기종은 수평형 원통마찰식과 수직형 연삭식이다.

① 수평형 원통마찰식:주로 추[分銅]의 저항으로 낟알이 서로 마찰과 찰리작용을 일으켜 도정하는 것으로, 원료 탱크 ·도정부 ·강발장치(糠拔裝置) ·순환승강기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수직형 연삭식:한국에서는 주로 정맥에 쓰인다. 도정효과가 크며 도정부에서 금강숫돌롤러가 빠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도정이 이루어진다. 원료 탱크 ·도정부 ·강발장치 ·순환승강기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자동순환식:한국에서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 도정기이다. 탱크 속에 있는 곡류의 무게 및 상승구의 저항으로 찰리작용 ·마찰작용이 일어나서 도정이 된다. 취급이 편리하여 농촌용으로 좋다.

④ 회전동식:나무로 된 회전동 내부에 철판이 깔려 있고, 그 상부에 고정축을 중심으로 돌 수 있는 10개의 금강숫돌의 교반익(攪拌翼)이 회전함으로써 금강숫돌에 의해 쌀이 연마 도정된다.

⑤ 절구방아식:절구공을 손으로 내리치는 방식과 방아식으로 밟아 찧는 식의 2가지가 있다.

⑥ 절구나선식:쇠로 만든 나선이 절구의 중앙에서 회전하면서 곡류를 순환시켜 도정하는 방식이다.

역참조항목

교반, 도정, 정미기, 현미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