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장가

도이장가

[ 悼二將歌 ]

요약 고려 제16대 왕 예종(睿宗)이 지은 노래.
저자 예종
장르 향가계 가요
발표년도 1120(예종15)

이두식(吏讀式) 표기로 된 향가(鄕歌) 형식의 노래로, 8구체(句體)를 4구씩 2분하여 지었다.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假像)을 만들어 참석하게 한 것을 보고, 왕이 그들의 공을 추도하여 지은 노래이다.

《평산신씨 고려대사장절공유사(平山申氏高麗大師壯節公遺事)》에 전하는 가사를 보면 “① 主乙完乎白乎 心聞際天乙及昆 魂是去賜矣中 三烏賜敎職麻又欲 ② 望彌阿里刺 及彼可二功臣良 久乃直隱 跡烏隱現乎賜丁”인데, 이것을 양주동(梁柱東)은 “① 니믈 오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1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2/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3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4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5밋곤/넉시 가샤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6/사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7샨 벼슬마 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8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9져 ② 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10라며 아리라/그대 두 공신이여/오라나 고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11/자최도이장가 본문 이미지 12 나토샨뎌”로 해독(解讀)하고, 이것을 의역(意譯)하여 “님을 온전하게 하시기 위한, 그 정성은 하늘 끝까지 미치심이여, 그대의 넋은 이미 가셨지만, 일찍이 지니셨던 벼슬은 여전히 하고 싶으심이여, 오오! 돌아보건대 두 공신의 곧고 곧은 업적은 오래오래 빛나리로소이다”로 풀이하였다. 이 노래는 《정과정곡(鄭瓜亭曲)》과 함께 향가 형식의 노래가 고려 중기까지 남아 있었다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참조항목

예종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