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8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8

[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Jin Version, Volume 28 ,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二十八 ]

요약 고려시대에 간행된 《화엄경》 제28권. 1981년 3월 1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8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8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1년 3월 18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시대 고려 숙종 3년(1098)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크기 1권 1축

1981년 3월 1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목판본, 1권 1축이다.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인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경》이라고도 한다. 《대방광불화엄경》은 크고 방정(方正)하고 넓은 이치를 깨달은 꽃같이 장엄한 경이라는 뜻으로, 불타(佛陀)의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표명한 경전이다.

이 경전은 중국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晉本) 60권 가운데 제28권이다. 책의 첫부분부터 5장까지 없어졌으며 부분적으로 훼손되어 있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종이를 이어붙여서 말아 접는 형태로 만들었으며, 책의 크기는 가로 658.2㎝, 세로 29.3㎝이다.

1098년(고려 숙종 3)에 간행된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국보)의 간본과 비교해 볼 때, 자체(字體)·판식(板式)·판각(板刻)의 정교도(精巧度), 먹의 빛깔, 권축(卷軸)의 홍칠(紅漆) 등이 비슷하여 고려 숙종(肅宗:재위 1095∼1105) 때 간본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간행 기록이 없으나 고려시대의 목판 인쇄와 《화엄경》 판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조항목

화엄경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