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품휘

당시품휘

[ 唐詩品彙 ]

요약 중국 당시(唐詩)의 선집.
구분 시선집(詩選集)
저자 고병
시대 중국 명(明) 1393년

90권, 습유(拾遺) 10권. 명(明)나라의 고병(高棅) 편. 1393년에 나왔으며, 습유는 1398년에 나왔다.

오언고시(五言古詩)부터 칠언율시(七言律詩)에 이르는 시를, 시체(詩體)에 따라 정시(正始) ·정종(正宗) ·대가(大家) ·명가(名家) ·우익(羽翼) ·접무(接武) ·정변(正變) ·여향(餘響) ·방류(旁流)의 9목(目)으로 분류하고, 대체로 초당(初唐) 때의 시는 정시에, 성당(盛唐) 때의 시는 정종 ·대가 ·명가 ·우익에, 중당(中唐) 때의 시는 접무에, 만당(晩唐) 때의 시는 정변 ·여향에, 승려 ·여류시인 등의 시는 방류에 각각 수록하였다. 그리하여 90권에는 620명의 시 5,769수, 습유 10권에는 61명의 시 950수가 수록되어 있다.

문학에서 당나라 때를 초당 ·성당 ·중당 ·만당으로 나누는 사변설(四變說)은 이 선집으로 거의 정착하였으며, 그 연대도 고병의 설이 표준이 되어 있다. 고병은 나중에 이 선집에서 뛰어난 작품 1,100수를 다시 골라 《당시정성(唐詩正聲)》을 편찬하였다.

참조항목

고병, 당시

역참조항목

만당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