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

달마

[ dharma , 達磨 ]

요약 인도 종교·사상의 중심 개념. 

산스크리트어로 '다르마(धर्म, dharma)'이며 ‘자연계의 법칙’이라는 뜻을 갖는다. 힌두교와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인도의 모든 종교에서 사용된다. 종교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힌두교에서는 사회적·도덕적 의무, 또는 종교 그 자체를 가리키며, 불교에서는 깨우친 사람들의 가르침을 뜻하는 '법(法)'이란 말로 사용된다. 보통 인간 행위를 규정하는 규범 전체를 가리킨다.

베다시대 때 자연계의 법칙, 인간계의 질서를 이르는 말에서 유래했다. 이후 우파니샤드시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행위라는 의미였다가 현재는 사회적 책임과 의무로도 간주된다. 힌두교에서는 특히 사회·가족 관계, 개인 습관 및 위생, 음식, 축제, 종교 의식, 정의·도덕, 식사준비 등 인간 삶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불교에서는 삼보(三寶) 중의 하나이자 연기법, 석가가 깨달은 진리 등의 중심관념으로 쓰인다.

참조항목

리타,

역참조항목

아다르마

카테고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