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묘

다이묘

[ daimyo , 大名(대명) ]

요약 일본에서 헤이안 시대에 등장하여 19세기 말까지 각 지방의 영토를 다스리고 권력을 행사했던 유력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초기 무사계급의 우두머리로 출발했으나 점차 그 권한이 확대되어 지역내에 군사권 및 사법권, 행정권, 경제권을 가지기에 이른다. 에도 시대 서약을 통해 쇼군 아래로 편입되었으나 자신의 성(城)에서 가신들을 거느린 봉건 영주의 삶을 살았다. 19세기 메이지 유신으로  일본에 근대화 바람이 불면서 영지의 통치권을 박탈당하고 귀족이 되어 연금을 받았다.   
원어명 だいみょう

10세기 말에 등장하여 19세기 후반 폐지되기 전까지 일본의 각 지역을 다스렸던 지방 유력자였다. 다이묘(daimyo)란 말 자체가 ‘크다’는 의미의 다이(だい,  大)와 '지방 영주의 이름을 딴 영지의 명칭'이란 뜻의 묘(みょう, 名)가 합해진 단어인 것처럼 이들은 자신들의 영토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민들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 권한이 막강하였을 때 다이묘들은 자신이 다스리는 지역의 사법권, 통치권, 군사권, 징세권 등의 모든 권한을 갖고 성을 세우고 신하를 거느리는 등 마치 왕처럼 행동하였다.

일본의 역사 속에서 ‘다이묘’란 명칭의 지위와 권한은 시대별로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인다. 초기에 이들은 자신들의 토지 내의 농민을 지키는 우두머리 무사(武士)라는 정도의 지위를 가졌다. 하지만 사유지의 국유지 잠식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고 율령 체계가 급속히 무너지는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Heian period) 말인 12세기에 들어서면서 이들의 지위는 점차 상승하기 시작했다. 지방 치안을 위한 공권력이 부재한 상황에서 지방 무사계급의 중요성은 점차 커졌던 것이다. 이후 가마쿠라(Kamakura) 막부 시기 기존의 혹은 새로 임명된 무사계급의 우두머리들 일부는 슈고(守護, shugo)라 불리며 자신들이 지키는 지방 영토의 사법권 및 행정권까지 얻었다.

가마쿠라 막부가 무너지고 들어선 무로마치(Muromachi) 막부 시기 슈고들의 권한은 군사와 정치 영역 뿐 아니라 지역의 경제까지로 확대되었다. 연구자들은 이때부터 다이묘란 명칭이 적극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 이들은 슈고 다이묘로 불리며 거대한 토지를 다스렸다. 지방에서 이들의 영향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두려워한 막부는 슈고 다이묘들을 교토에 거주하도록 명령했다. 이 일로 지방은 슈고다이(守護代)라는 슈고 다이묘가 임명한 대리인이 맡게 되었다. 슈고다이는 지역에서 자신의 권한을 점차 강화해 나갔고 점차 슈고 다이묘를 능가하기 시작했다. 15세기 후반 센코쿠 다이묘(戰國大名, Sengoku daimyo)가 새로이 등장했는데 지역 기반이 탄탄한 지방 무사와 슈고다이 출신이 많았다. 이들은 슈고 다이묘들 빈번한 전쟁으로 막부가 약화된 틈을 타 슈고 다이묘를 몰아내고 영토를 사유화하는데 성공했던 것이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전쟁을 통하여 강한 다이묘가 인근의 약한 다이묘의 영토를 장악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이때부터는 연간 1만석 이상의 쌀을 수확하는 영주만이 다이묘로 불렸다. 17세기 초 에도시대(江戶時代, Edo period)가 열리면서 대부분의 다이묘가 서약을 통해 도쿠가와(德川, Tokugawa) 막부의 우두머리인 쇼군 아래로 편입되었다. 이 시기 다이묘들은 가신들을 거느리며 쇼군으로부터 분할 받은 영지의 성에서 자유롭고 풍요롭게 살았다. 쇼군은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해 다이묘들을 일정기간 쇼군의 영지에 와서 살도록 했으며 다이묘 영지 내에서도 막부가 세운 법률을 준수하도록 했다.

19세기 후반 에도 막부가 무너지고 메이지(明治, Meiji) 정부가 들어선 이후 다이묘들의 입지는 매우 좁아졌다. 1867년 에도 막부의 마지막 쇼군이 천황에게 권한을 넘긴 대정봉환(大政奉還)을 계기로 변화의 바람이 불면서 다이묘들은 개인적으로 소유하던 영지를 천황에게 귀속시켜야 했다. 1871년 다이묘 영지제도는 완전히 폐지되었고 다이묘들은 기존의 권한을 잃고 궁중 귀족인 구게(公家, Kuge)와 함께 화족(華族, kazoku)이란 귀족으로 분류되어 연금을 받으며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