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전지

다니엘전지

[ Daniell cell ]

요약 영국인 J.F.다니엘(1790∼1845)이 1836년 발명한 1차전지로 다른 효율적인 전지가 개발되기 이전에 전신용 전원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황산아연 용액 속에 넣은 아연을 음극, 황산구리 용액 속에 넣은 구리를 양극으로 하며 두 용액을 염류(鹽類) 용액으로 이어서 만든 전지이다. 전지로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CuCuSO4ZnSO4Zn(-)   ( : 염다리)

회로를 닫으면 양극에서 Cu2++2e-→Cu, 음극에서 Zn→Zn2++2e-(e-는 전자)의 반응이 일어나 전류가 흐르며, 기전력은 1.10 V 정도이다. 비교적 장시간 쓸 수 있고, 전압의 동요나 불쾌한 기체의 발생이 없으므로 이전에는 전신용 전원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 전지처럼 금속 M1, M2와 각각의 염 M1X1, M2X2를 M1 M1X1 M2X2 M2형으로 배치한 전지를 다니엘형 전지라고 한다.

다니엘전지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