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농가

[ 農家 ]

요약 농업을 중시하고 농경에 힘써서 의식(衣食)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고대 중국의 학파.

농업경제와 농업기술에 대하여 연구한, 제자백가(諸子百家) 중의 일파이기도 하다. 본래 농업이 인류사회에 있어 기본적인 산업이라는 점에서 오랜 옛날부터 농업기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대 중국의 문헌을 처음으로 정리하여 기록한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의 <제자략(諸子略)>에는 농가에 대해서, 《신농(神農)》(20편) 《야로(野老)》(17편) 등 농가 9사람의 서(書) 114편을 들고 있는데, 오늘날에는 모두 흩어져 없어지고 단편적인 것밖에 남아 있지 않다.

그 밖에 음양가(陰陽家) ·복서가(卜筮家)의 서(書)인 <수술(數術)> 중에 《신농교전상토경종(神農敎田相土耕種)》(14권) 《소명자조종생어별(昭明子釣種生魚鼈)》(8권) 《종수장과상잠(種樹臧果相蠶)》(13권) 등과 같은 농업기술을 기록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들이 있다.

따라서 ‘농가(農家)’란 단순한 농업기술을 해설한 것이 아니라 어떤 사상적인 주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예문지>에 의하면, 그것은 군신(君臣)이 함께 경작에 종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맹자(孟子)》에 “신농(神農)의 말을 이룬 자에 허행(許行)이 있다”라고 쓰인 허행의 주장도 똑같은 설이지만, 이 사상은 진(秦) ·한(漢)의 제국 통일 후로는 쇠퇴하였다. 후세 농가의 서(書)로 지목되는 것은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사서(史書)의 《경적지(經籍地)》 등에는 농사에 관련되는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잡다하고도 짜임새가 없이 허술해졌다. 이에 따라 《사고전서(四庫全書)》의 <총목(總目)>에서는 《제민요술(齊民要術)》 《농서(農書)》 《농상집요(農桑輯要)》 등 농가에 관계된 것을 9부 68권으로 한정하여 게재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