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이동률

노동이동률

[ labor turnover , 勞動移動率 ]

요약 입직자수(入職者數)와 이직자수(離職者數)의 합을 평균종업원수로 나눈 비율.

사업장에의 입직률과 사업장으로부터의 이직률로 나누어진다. 입직률과 이직률은 월말 노동자수에 대한 월간 증감 노동자수의 비율이다. 한국에서 제조업의 경우 1992년의 입직률이 3.3%, 이직률이 3.9%였다. 이 양자의 합계는 노동이동률이 된다. 사업장간의 전근은 양자 속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것을 제외한 기업간의 이동률은 좀더 낮은 숫자가 된다. 이직성향은 불완전한 정보에 의한 위험을 무릅쓴 적극성과 현직에 대한 불만, 부주의한 선택이나 쉽게 염증을 느끼는 성격에 정비례하고, 규모와 근속연수와 가족에 대한 책임과 수입에 반비례한다. 이동성향은 수락임금(受諾賃金) 이상의 취직기회의 전망과 이직성향에 비례한다.

참조항목

노동이동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