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사회학

노년사회학

[ sociology of aging , 老年社會學 ]

요약 노인문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사회학.

즉, 노년기를 개인에 내재하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변화라는 관점에서가 아니라 외재적인 여러 조건, 이를테면 사회제도나 사회적 지위 ·역할의 변동과 같은 사회학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노년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명하고 분석하려는 개별과학의 한 분야이다. 대표적 이론으로는 먼저 적응론이 있는데, 이 이론은 노년기 직업활동 적응성에 분석의 초점을 두는 사회활동설과, 시점(視點)을 퇴직 후에 두는 사회이탈설이 있다. 둘째는 역할이론으로, 노년기에 있어서 일정한 지위와 역할 상실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는 사회적 통합이론 ·부차문화론(副次文化論) ·역할출구론 등이 있다. 또, 사회적 지위와 역할 중에서 특히 가족적 지위와 역할에 착안한 노년기의 가족주기적 이해와, 생명체로서의 생물학적 노화를 중시하는 생명주기적 변화를 근거로 한 라이프스타일로부터의 접근도 노년사회학의 대표적인 입장이다.

역참조항목

노년기, 노년심리학

카테고리

  • > >